건너뛰기 메뉴

로그인로그인 회원가입회원가입

수상작갤러리

전동 킥보드의 헬멧 분실과 미착용으로 인한 사고 예방

265표 득표
킥보드 안전 지킴이

제안배경

1. 헬멧 분실 문제
1) 2020년 5월 13일 교통개정법에 따라 무면허 운전 금지와 헬멧 의무화가 시행되었다.
2) 5월 13일 이후 지쿠터 등 전동킥보드 업체에서는 헬멧을 전동킥보드에 붙여 보급하였으나 대부분의 헬멧이 버려지거나 중고사이트에 헬멧을 파는 사람들도 많이 볼 수 있었다.
3) 길을 지나가다 보면 헬멧을 쓰고 다니는 사람의 모습을 보는 것이 더욱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4)헬멧이 분실되면 다시 채워 넣어야 하다 보니 비용이 계속 들어간다. 헬멧을 사용자의 자율에 맡긴 후 분실률이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2. 헬멧 미착용으로 인한 사고와 심각성
1) 2019년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전동 킥보드 사고로 머리 및 얼굴을 다치는 경우가 약 40%로 가장 많았고, 이는 헬멧 등의 보호장비를 제대로 갖추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2) 전남대병원 성형외과 최준호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최근 4년간 응급의료센터에 방문한 킥보드 사고 환자의 85%가 킥보드 탑승 당시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았고, 킥보드 사고 환자 중 중증 환자의 14명이 헬멧을 착용하지 않았다. 또한, 부상 부위는 안면 부위 부상이 60%가 넘을 정도로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3) 경찰청이 제공한 '개인형 이동장치(PM) 단속 현황'에 따르면 개정안 시행 이후인 지난해 5월 13일부터 연말까지 안전 규정 위반으로 단속된 총 7만3566건 중 '안전모 미착용'이 5만8580건으로 전체의 약 80%에 달했다. 올해의 경우 지난 4월 30일까지 단속된 총 2만 5895건 가운데 약 79%인 2만0312건이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로 비중이 전혀 줄어들지 않고 있다.


3. 문제점인식
1) 경찰청에서 제공한 전국 개인형 이동장치 사고 현황에서는 법이 시행되기 시작한 2020년과 그 후 2021년에서는 시행되기 이전보다 약 2배 정도 더 많은 사고가 발생하였다.
2) 법이 시행되었음에도 단속이 생각보다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많은 사람들도 법의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즉 시행된 법이 거의 무의미한 효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3) 헬멧 착용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전동 킥보드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헬멧 착용을 필수로 할 수 있게 방안을 제안하려한다.

제안내용

1. 헬멧 착용 정책 강화
1) 설문조사를 한 결과 49.2%가 전동 킥보드가 제공하는 헬멧을 이용 예정이다.
2) 제공되는 헬멧을 이용할 사람이 많은 만큼 헬멧 착용 정책을 강화해야한다.


2. 헬멧 제안 정책의 내용
1) 킥보드 한 대당 한 개의 헬멧과 헬멧 보관 바구니 설치한다
헬멧과 바구니에 거리 센서를 달아 헬멧이 바구니 안에 있을 때는 킥보드가 작동되지 않고
꺼내어져 있을 때 에만 작동할 수 있다.

2) 반납 시에는 바구니에 헬멧을 넣어야 반납이 가능하게한다.
3) 장소 : 길에 비치 되어있는 킥보드
4) 기간 : 1년~2년
5) 대상 및 인원 : 킥보드 & 현재 보급되고 있는 모든 킥보드

6) 운영 일정 : 현재 보급된 킥보드를 수거하여 바구니와 헬멧을 부착하고
새롭게 만들어질 킥보드에 또한 헬멧과 바구니 기능을 넣어 보급한다.

3. 성남시가 실행을 해야 하는 이유
1) 헬멧을 착용하지 않고 킥보드를 타게 됐을 시에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유일한 안전장비인 헬멧을
쓰지 않음으로 인하여 큰 부상의 위험이 있다. 이런 사고로부터 시민을 안전을 지켜야 한다.
2) 헬멧을 바구니에 넣음으로써 더 깨끗한 정조환경과 분실된 헬멧을 부담하지 않게 되어 기업의 성장을 증 진 시킨다.

4. 구체적인 실행내용
1) 방안 : 전동 킥보드에 헬멧 바구니 설치

2) 바구니 : 헬멧이 들어갈 최소한의 크기
 단단한 금속의 재질
 바구니 안쪽 바닥 면에 거리 센서 부착

3) 헬멧 :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 튼튼한 플라스틱 재질
바구니의 거리 센서와 서로 호환되는 센서를 부착하여 헬멧이 일정한 거리에 따라 설정한 거릿값
내에 헬멧이 있어야 킥보드의 작동이 가능하고 반납 시에는 바구니와 헬멧 사이의 일정거릿값을
설정해 그 일정거릿값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으면 반납이 되지 않는 형식으로 제작한다.
따라서 헬멧이 반납이 되지 않는다면 전동킥보드 또한 반납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이용시간이 늘어나 더 많은 비용을 부담해야한다. 그리고 일정시간(전동 킥보드가 40분이상 정차되어 있을 때)이 지난 후 에도 헬멧이 반납되지 않았을 경우 이용금지 패널티를 사용자에게 부과한다.

기대효과

기대효과 1.
성남시에도 많은 청소년들과 직장인들이 전동 킥보드를 이용하는 가운데, 성남시에서 이런 정책을 실행한다면, 헬멧을 착용하지 않는 불상사를 줄여 성남시의 전동 킥보드로 인한 사고의 수는 크게 줄을 것으로 예상되며, 헬멧 미착용시 생기는 중증 환자의 비율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기대효과 2.
전동 킥보드에 이 정책을 실행하고 효과를 본다면, 전기 자전거와 같은 다른 위험한 이동수단도 이러한 비슷한 정책을 계획 및 실행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통해 성남시는 많은 이용수단을 편리하게 이용하되,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도시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된다

기대효과 3.
반납시 바구니에서 헬멧이 없으면 킥보드가 반납이 불가능 하여 추가비용을 부담해며 장시간 헬멧이 반납되지 않을 경우 이용금지 패널티를 부과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헬멧을 원래 자리인 바구니에 둘 것이다. 따라서 헬멧을 다른 용도로 쓰거나 분실되지 않을 것이다.

응원하기

김선희2022-11-19 16:26:04.0
공유 이동장치에 대한 개개인의 인식 개선도 필요? 듯 보입니다
jaykim2022-11-17 15:54:41.0
전동퀵보드 안전하게 탈수 있도록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김정화2022-11-17 15:44:12.0
사물인식 헬멧바구니 굿아이디어입니다. 수단보다 더중요한건 안전장치입니다.
김민희2022-11-16 23:07:04.0
오호~너무 좋은제안이예요!!
최옥자2022-11-16 23:02:39.0
굿~ 아이디어
점근선2022-11-16 07:40:19.0
돋보이는 아이디어네요
정지2022-11-16 05:59:49.0
굿이에요~!
연세우유2022-11-16 01:32:32.0
훌륭해요~~!
혜인2022-11-16 01:31:16.0
우와~~너무 멋져요^^
밍지2022-11-15 22:40:34.0
굿굿 !!
현주2022-11-15 22:18:13.0
너무 좋네요~~!
2022-11-15 16:26:00.0
굿아이디어~!